2013년 9월 3일 화요일

vgexport, vgimport

vgexport : 두 가지 용도로 많이 사용합니다.

1. 볼륨그룹을 제거 할때
# vgchange -a n /dev/vg01
vgexport /dev/vg00  : 조심해서 사용합시당...
vgchange 는 볼륨그룹을 사용할수있도록 활성화를 할때 또는 비활성화할때 사용을 합니다.
비활성화를 하고난뒤 vgexport 를 하시면 /dev/vg01 디렉토리까지 모두 제거가 됩니다.

2. 볼륨그룹을 정보를 다른디스크에 옮길때
# vgexport -p -m /tmp/vg01.map /dev/vg01
-p : 현재 정의된 정보를 제거 하지않는다는 옵션이고
-m : 현재의 vg01의 볼륨정보를 vg01.map 파일에 적는다라는 옵션입니다.


vgimport : vgexport와 같이 사용됩니다.

1. 기존의 디스크를 secondary 로 디스크로 옮겨서 디스크의 볼륨그룹의 정보를 읽어들일때 사용합니다.
# mkdir /dev/vg02
# mknod /dev/vg02/group c 64 0x020000
# vgimport /dev/vg02 /dev/dsk/c0t5d0
현재 시스템에서 사용하지 않는 vg02의 볼륨에 c0t5d0 의 디스크의 현재 VGRA(volume group reserved area) 를 읽어서
lvol 정보를 구성합니다.

2. export 한 map 파일을 읽어서 lvol 를 구성합니다.
   새로운 디스크에 ...
# vgimport -m /tmp/vg01.map /dev/vg01 /dev/dsk/c1t6d0
  보통위의 두가지 경우에 많이 사용을 합니다. 

댓글 없음:

댓글 쓰기